Search

1장 - DBMS 아키텍처 (wchae)

상태
Done
생성자
1장 - DBMS 아키텍처
요약
DBMS 와 기억장치의 관계
옵티마이저(optimizer)
메모리 작동 방식
트레이드 오프

[1강] DBMS의 구성(개요)

쿼리 평가 엔진

SQL 구문분석
실행 계획
실행 계획 실행
접근 메서드(access method)로 데이터 접근

버퍼 매니저

캐시 메모리 관리

디스크 용량 매니저

영속성 저장 관련 관리

트랜젝션 매니저 & 락 매니저

트랜젝션 & 동시성 관리

리커버리 매니저

데이터 백업 & 복구

[2강] DBMS 와 버퍼

2차 기억장치 HDD 에 영속성 저장
1차 기억장치에 성능향상을 위한 캐시 메모리 사용
⇒ SQL 구문의 실행 시간 대부분은 I/O에 사용된다 따라서 자주사용하는 데이터는 1차 메모리에 올리고 사용한다
버퍼매니저가 어떤데이터를 어느 정도의 기간으로 올릴지 정해줌

메모리 위에 있는 두 개의 버퍼

데이터 캐시

READ
I/O 가 필요한 데이터의 일부를 메모리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영역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그 “캐시”

로그 버퍼

CREATE, UPDATE, DELETE
DBMS는 데이터가 갱신될때, 로그 버퍼 위에 변경 정보를 보내고 이후에 I/O 작업을 한다.
갱신 처리는 비동기
COMMIT 때 메모리→DISK 정보 복사

로그 버퍼 와 휘발성

IF 로그 버퍼 위에 있는 데이터가 I/O 작업이 이러나기 전에 장애가 발생해서 사라진다면?
⇒ 복구 불가능
DBMS의 갱신을 비동기로 하는 이상 언제든 발생 가능한 문제
DBMS 는 commit 시점에 반드시 갱신 전보를 로그 파일(영속) 에 써서 정합성을 유지한다.
⇒ commit 된 데이터 영속화
COMMIT 시에는 반드시 I / O 처리가 일어난다.

데이터캐시와 로그 버퍼의 크기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검색을 가정한다
따라서 READ를 담당하는 데이터캐시의 Default 용량이 로그 버퍼의 크기보다 일반적으로 더 크게 설정되어있다.

워킹 메모리

정렬 또는 해시 관련 처리에 사용되는 작업용 메모리
ORDER BY , GROUP BY, 집합 연산, 윈도우 함수 등의 기능에서 사용
반면 해시는 주로 테이블의 결합에서 해시 결합이 사용될 때 실행

특징

해시 또는 정렬 처리가 일어날때 사용된다.
메모리가 부족하면 SWAP(2차 기억장치-영속장치) 에 임시로 저장해서 메모리처럼 사용한다.
아무리 느려져도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고, 끝까지 처리한다.

[3강] DBMS 와 실행 계획

권한 이양의 죄악

C, Java, Ruby 같은 절차가 기초되는 언어
사용자가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절치(HOW) 를 책임지고 기술
RDB
절차 (HOW)를 시스템에 맡김
사용자는 대상(WHAT) 만 기술하면 된다.
⇒ 비즈니스 생산성 향상
WHAT 에 집중하자 는 SQL 이 나온 초기에 생각했던 것이고, HOW 를 의식하지 않고 사용해서 성능 문제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우리가 공부해야 한다.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은 어떻게 결정할까?

1 파서

SQL 구문 분석 - 예외처리
SQL 구문 변환 - 정형적인 형식으로 변환 ( 내부에서 일어나는 후속처리를 위한 최적화)
⇒ SQL 문을 AST로 변환한다.

2 (2,3) 옵티마이저

RDBMS의 핵심
1.
선택 가능한 많은 실행 계획 을 작성
2.
이들의 비용을 연산
3.
가장 낮은 비용을 가진 실행 계획을 선택

4 카탈로그 매니저

카탈로그
DBMS 의 내부 정보를 모아놓은 테이블들
테이블 또는 인덱스의 통계 정보가 저장
통계 정보 라고 부른다

5 플랜 평가

실행 계획들 중 최적의 실행 결과를 선택
실행 계획 은 곧바로 DBMS가 실행할 수 있는 형태의 코드가 아니라, 인간이 보기 편한 형태의 계획서
로우레벨이 아닌 하이레벨
절차적인 코드로 변환하고 데이터 접근 수행

옵티마이저와 통계 정보

옵티마이저는 명령하는대로 다 잘 처리해주는 만능은 아니다
카탈로그 매니저가 관리하는 통계 정보에 대해서는 엔지니어가 항상 신경써야한다.
플랜 선택을 100% 옵티마이저에게 맡기는경우, 통계 정보가 부족할때 느려진다.

카탈로그에 포함된 통계 정보

각 테이블의 레코드 수
각 테이블의 필드 수와 필드 크기
필드의 카디널리티 (값의 경우의 수)
필드값의 히스토그램 ( 각 값별 분포도)
필드 내부에 있는 NULL 수
인덱스 정보
⇒ 이러한 정보를 활용해서 옵티마이저 실행 계획을 만든다.
테이블에 CUD 가 수행될때, 카탈로그 정보가 갱신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발생한다.
⇒ Garbage In, Garbage Out

최적의 실행 계획이 작성되게 하려면?

올바른 통계 정보가 모이는 것은 매우 중요
테이블의 데이터가 많이 바뀌면 카탈로그통계 정보도 함께 갱신해야 한다.
수동 갱신
배치 처리할때는 Job Net 을 조합 ⇒ 여러가지 경우의 수 를 그래픽적으로 표현하고 관리
MS SQL은 갱신 처리가 수행되는 시점에 통계 정보 갱신
⇒ 하지만 통계 정보 갱신은 실행 비용이 높은 작업이므로 시점을 잘 검토해야한다.

[4강] 실행 계획이 SQL 구문의 성능을 결정

이미 최적의 경로가 설정 되었는데도 느린 경우가 있다
통계 정보가 최신이라도 SQL 구문이 복잡하면 옵티마이저가 최적의 선택을 못할 수 있다.

실행 계획 확인 방법

공통적인 실행계획 부분
조작 대상 객체
테이블명
인덱스, 파티션, 시퀀스 처럼 SQL 구문으로 조작할 수 있는 객체면 무엇이라도 OK
객체에 대한 조작의 종류
Seq Scan == Sequential Scan
파일을 순차적으로 접근해서 해당 테이블의 데이터 전체를 읽어낸다
TABLE ACCESS FULL 은 테이블 데이터를 전부 읽는다.
조작 대상이 되는 레코드 수
ROWS 항목
얼마만큼의 레코드가 처리되는지 SQL 구문 전체의 실행 비용 파악시 중요 지표
카탈로그로 부터 얻은 값이므로,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JIT 의 경우 예외)

테이블 풀 스캔(Full Scan) 의 실행 계획

EXPLAIN EXTENDED SELECT * from cabinet;
SQL
복사
+--+-----------+-------+----+-------------+----+-------+----+----+--------+-----+ |id|select_type|table |type|possible_keys|key |key_len|ref |rows|filtered|Extra| +--+-----------+-------+----+-------------+----+-------+----+----+--------+-----+ |1 |SIMPLE |cabinet|ALL |null |null|null |null|398 |100 | | +--+-----------+-------+----+-------------+----+-------+----+----+--------+-----+
Plain Text
복사

인덱스 스캔의 실행 계획

EXPLAIN EXTENDED SELECT * from user where user_id=3;
SQL
복사
+--+-----------+-----+-----+-------------+-------+-------+-----+----+--------+-----+ |id|select_type|table|type |possible_keys|key |key_len|ref |rows|filtered|Extra| +--+-----------+-----+-----+-------------+-------+-------+-----+----+--------+-----+ |1 |SIMPLE |user |const|PRIMARY |PRIMARY|8 |const|1 |100 | | +--+-----------+-----+-----+-------------+-------+-------+-----+----+--------+-----+
Plain Text
복사
일반적으로는 스캔하는 모집합 레코드 수 에서 선택되는 레코드 수가 적다면 테이블 풀 스캔보다 빠르게 접근을 수행한다.
풀 스캔은 모집합의 데이터 양에 비례해서 처리비용이 늘어난다
인덱스는 B-Tree 가 모집합의 데이터 양에 따라 대수 함수적으로 처리 비용이 늘어난다.(완만하게 증가)
레코드 수가 많아지면 차이가 커짐

간단한 테이블 결합의 실행 계획

EXPLAIN EXTENDED SELECT * from user u LEFT JOIN lent_history lh ON u.user_id=lh.user_id where u.user_id=3;
SQL
복사
+--+-----------+-----+-----+--------------------+--------------------+-------+-----+----+--------+-----+ |id|select_type|table|type |possible_keys |key |key_len|ref |rows|filtered|Extra| +--+-----------+-----+-----+--------------------+--------------------+-------+-----+----+--------+-----+ |1 |SIMPLE |u |const|PRIMARY |PRIMARY |8 |const|1 |100 | | |1 |SIMPLE |lh |ref |lent_history_user_id|lent_history_user_id|8 |const|1 |100 | | +--+-----------+-----+-----+--------------------+--------------------+-------+-----+----+--------+-----+
SQL
복사

Nested Loops

한쪽 테이블을 읽으면서 레코드 하나마다 결합 조건에 맞는 레코드를 쭉 다른 테이블에서 찾는 방식
절차 지향형 언어에서 2중 반복문

Sort Merge

결합 키로 레코드를 정렬하고, 순차적으로 두 개의 테이블을 결합
결합 전 처리로 정렬을 수행 ⇒ 이 때 워킹 메모리를 사용

Hash

결합 키 값을 해시값으로 매핑
해시 테이블을 만들어야하므로 워킹 메모리 사용

결합 정리

실행 계획은 일반적으로 트리 구조이다.
이때 중첩 단계가 깊을수록 먼저 실행된다.
Nested Loop 보다, Seq Scan과 Index Scan 의 단계가 더 깊으므로, 결합 전에 테이블 접근이 먼저 수행된다.
이때 결합의 경우 어떤 테이블에 먼저 접근하는지가 중요하다.
같은 중첩 단계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실행한다.

[5강] 실행 계획의 중요성

최근 옵티마이저는 매우 우수 BUT 완벽하지 않다.
옵티마이저에게 인덱스 정보를 제대로 줘야한다.
테이블 결합 순서를 신경써야 한다.
최후의 수단 → 실행 계획 수동 변경
Oracle, MySQL 이 가진 hint 구를 사용하면 SQL 구문에서 옵티마이저에게 강제적으로 명령 가능
DB2처럼 hint 구가 없는 DBMS 도 있다.
SQL 구문들이 어떤 경로로(access path)로 데이터를 검색하는지 아는게 먼저다.
공부하자